내 삶에
힘이 되는 강북!

NOTICE

2025 강북구민대상 후보자 추천, 어렵지 않아요! (~ 8. 29.)

2025 강북구민대상 후보자 추천, 어렵지 않아요! (~ 8. 29.)

[2025 강북구민대상 후보자 추천 모집] 다음 강북구 관련 제보 중 사실인 것은 무엇일까요?   정답은~~~~~~~~~~~~~~~~~~~~ 4번이지요! 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  💪우리 동네를 위해 참 열심히 일하는 사람, 👟자기가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, 🌳자연을 사랑하고 환경을 아껴주는 사람, 🏊문화예술체육 쪽 재능이 뛰어난 사람, 🥰어려울 때 힘이 되어 주는 사람, ✨누구에게나 소개하고 싶은 사람 등등이 지금 머릿속에 떠오르셨다면 그 분의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에 방문해 추천서를 제출해주심 됩니다. 2025년 7월 기준 강북구 - 북한산에서 브라키오사우루스가, - 우이천에서 고래가, - 북서울꿈의숲에서 유니콘이 목격된 적은 없지만 👩👨🧑👧👶👩‍🦰👨‍🦰 여러분 주변 강북구민대상 후보자는 분명 있습니다~~~~~~~ 분명! ○ 추천기간: 2025. 7. 1.(화)~ 8. 29.(금) 18:00까지 ○ 추천부문: 선행봉사상, 모범가족상, 문화예술상, 체육상, 모범기업인상, 사회복지상, 환경상, 교육발전상 총 8개 부문 ○ 추천대상: 각 분야에서 구민화합과 사회발전 등에 기여한 사람 ○ 추천방법: 후보자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를 통해 접수처로 공문 및 원본 제출 ○ 제출서류: 구민대상 후보자 추천서, 공적조서, 공적요약서 반명함판 사진, 후보자 공동추천자 명단 (구민 추천 10인 이상 구민의 추천인 경우) 후보자 추천에 대한 동의서 기타 공적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※ 추천서 등 서식 다운로드 새소식(상세) | 강북소식 | 강북소개 | 포털사이트 ○ 시상: 2025년 10월 예정 ○ 문의: 강북구 자치행정과 주민자치팀 (02-901-6098)

2025-07-18

서울시 전기차 충전기 설치부지 시민신청 및 강북구 충전인프라 안전시설 지원 사업 안내

서울시 전기차 충전기 설치부지 시민신청 및 강북구 충전인프라 안전시설 지원 사업 안내

[서울시 전기차 충전기 설치부지 시민신청 및 강북구 충전인프라 안전시설 지원 사업 안내] "우리 집에도 전기차 충전기 신청해주세요" 서울시에서는 전기차 충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누구나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생활권 5분망 구축 차원에서 전기차 충전 설치부지 신청 상시 접수받고 있습니다. 아울러 강북구 내 전기차 충전인프라 안전시설 지원사업에 대해서도 안내드리오니 관심 있는 구민 여러분의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. ○ 신청기간: 상시 접수 ○ 신청대상: 서울시 소재 충전기 설치를 희망하는 누구나 (부지소유자 등) ○ 신청수량 및 유형: 총 주차면수, 시설의 전기차 보급대수 등을 고려하여 필요 수량 신청 ○ 설치장소 유형 - 주거시설①: 아파트, 연립, 다세대, 기숙사 등 공동주택 - 주거시설②: 단독, 다가구 주택 - 업무·상업시설: 사무실, 오피스텔, 백화점, 마트, 편의점 등 - 공공시설: 관공서, 공영주차장, 복지관, 문화센터, 체육시설, 학교 등 - 기타시설: 의료시설, 종교시설, 숙박시설, 도로 등 ○ 충전기 부지 선정 기준: - 공동주택, 업무시설 등 생활거점 시설로서 지상·하 주차장을 갖춘 시설 ※ 부지(건물) 소유자 또는 관리주체(입주자대표회의, 관리운영단 등) 부지사용 동의 필요 - 수전시설 능력(전력인입경로 포함) 전력설비 여유 용량에 따라 수량 조정 - 완전 또는 부분 개방이 가능한 시설 ○ 선정 제외 대상: - 부지소유주, 입주자대표회의 동의 등 동의가 완료되지 않은 곳 - 재건축 대상 및 전기설비 용량 부족 단지 - 현장 점검 후 설치 불가 판정 단지 (적정 설치 위치 부재 등) -미개방, 개인사용 ○ 신청방법: 온라인 접수 전기자동차·전기이륜차 충전 설치부지 신청 < 환경 < 서울특별시 ○ 문의: 서울시 친환경차량과 (급속 02-2133-3607 완속 02-2133-4242 BSS 02-2133-9774) <전기차 충전인프라 안전시설 지원사업 3차> ○ 신청기한: 2025. 7. 11.(금)~2025. 9. 30.(화) ※ 지방보조금 심의 일정에 따라 신청기간은 변경될 수 있음 ○ 지원대상: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한 아파트, 오피스텔 등 공동주거시설 ○ 지원품목: 열화상카메라, 상방향 직수장치 등 ○ 지원비용: 시, 구 (최대) 50 : 민간(자부담) 50 개소당 상한액 최대 1,428만원 ※ 지하 주차면수 별 차등 지원 ○ 신청방법: 지원 신청서 작성 후 팩스 또는 이메일 접수 ※ 신청서 서식 다운로드 및 상세내용 확인 고시공고(상세) | 강북소식 | 강북소개 | 포털사이트 ○ 문의: 강북구 환경과(02-901-2594)  

2025-07-17

2025 서울시 정·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 안내

2025 서울시 정·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 안내

[2025 서울시 정·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 안내] 서울시는 영구피임 수술 후 임신·출산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 탄생을 응원하기 위해 정·난관 복원 시술비를 지원합니다. 해당하는 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. ○ 지원시기: 2025. 1. 1.~사업 종료 시 ※ 정·난관 복원 시술을 받은 해당 연도 내 신청이 원칙 ※ 단, 시술일이 12월인 경우 다음 해 1월 말까지 신청 가능 ○ 지원대상: 영구피임시술(정관·난관 절제술 또는 결찰술) 을 받은 자 중에서 임신·출산을 위해 정·난관 복원 시술을 받은 서울 시민 ※ 신청나이: - 남성 만 55세 이하 (2025년 기준 1969년 1월 1일 이후 출생) - 여성 만 49세 이하 (2025년 기준 1975년 1월 1일 이후 출생) ○ 지원내용: 정·난관 복원 시술 관련 요양급여 비용 중 일부·전액 본인부담금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 (검사비 및 시술비, 생애 1회) ※ 상급병실료, 환자특식, 보호자식대, 제증명 비용 등 시술과 관련 없는 진료비용 제외 ○ 신청서 접수: 온라인 또는 주소지 자치구 보건 방문 접수 (강북구 보건소 1층 아이맘센터) 서울시 임신·출산 정보센터 ○ 제출서류: 주민등록증, 신분증 사본, 본인 명의 톡장 사본, 진료비 영수증, 진료비 세부내역서, 의사진단서 또는 소견서 (영구피임 시술과 복원 시술 내용 포함 필수) ※ 신청서 다운로드 및 상세내용 확인: 정‧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사업 안내 | 성인 의료비 지원 | 의료비 지원사업 | 사업안내 | 포털사이트 ○ 문의: 강북구 보건소(02-901-7765)

2025-07-17

2025 영유아 선천성 난청검사 & 보청기 지원사업 안내

2025 영유아 선천성 난청검사 & 보청기 지원사업 안내

[2025 영유아 선천성 난청검사 & 보청기 지원사업 안내] 저출산 극복 및 아동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영유아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필요한 구민 여러분께서는 꼭 신청하셔서 도움받으시길 바랍니다. ○ 신청기간: 상시접수 ○ 지원대상: - 난청검사비(선별/확진): 출생 후 1년(12개월)이내 영아 - 보청기 지원: 만 5세(만60개월) 미만 영유아 ○ 지원내용 및 기준 - 난청검사비(선별/확진)는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만 지원 - 신생아 난청 외래 선별검사비의 본인부담금 지원(최대 2회) - 난청 선별검사 결과 재검(refer) 판정 후 난청 확진검사를 받은 경우 확진검사비의 본인부담금 지원(7만원 한도) ※ 단, ABR 또는 ASSR 검사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- 보청기는 보건소 신청일 기준 6개월 전후 구입한 보청기에 대해서만 지원 - 양측성 난청: 보청기 최대 2개 지원 (개당 135만원 한도) ※ 청력이 좋은 귀의 평균 청력역치가 청각장애등급을 받지 못하는 40-59dB인 경우 ※ 단 국가 청각장애 진단기준에 해당되어 청각장애 등록 신청을 하였으나 불승인된 경우에는 불승인 사유가 기재된 장애등급결정서 추가 제출 시 영유아 보청기 지원 가능함 - 일측성 난청: 보청기 1개 지원(135만원 한도) ※ 나쁜 귀의 평균 청력역치가 55dB 이상이면서 좋은 귀의 평균 청력역치가 40dB 이하인 경우 ○ 신청접수: 강북구 보건소 1층(아이맘 건강센터) 방문 접수 또는 e 보건소 공공포털, 아이마중 앱 등 온라인 신청 가능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※ 상세내용 확인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지원 | 영유아 의료비 지원 | 의료비 지원사업 | 사업안내 | 포털사이트 ○ 문의: 강북구 지역보건과 (02-901-7764) 보건복지상담센터 (국번없이 129)

2025-07-17

456

검색하기